2020년7월4일 동생이 오랜만에 휴가로 집으로 왔다. 나주에 동생의 여자친구가 살았는데, 집안끼리 예전부터 알고 지냈다. 나와 동생, 어머니 셋, 동생 여자친구와 그녀의 어머니 총 5명이 점심을 먹고 나주에 유일한 스타벅스로 갔다. 그곳은 너무 사람이 많고 시끄러워 근처 공원으로 갔다.

 공원에서 바람은 선선하고, 햇빛은 없어서 적당한 날씨에 공원의 꽃은 만발했다. 그곳에서는 놀이터가 있었다. 놀이터의 기구는 페달을 돌리면 전력이 발생해 그 힘으로 움직였다. 나도, 동생도 놀이기구를 타고 심지어는 우리 어머니도 타러갔다. 눈치 볼 것 없이, 나이 20중반, 20후반, 50중반의 사람들이 단순히 페달을 돌리고 한반퀴 도는 장치 일뿐인데 왜 즐거웠을까? 오히려 부모들이 태우려는 애들보다 다른 어른들도 더 신나 보였다.

  점심을 먹은지 얼마 되지 않았고, 한적 곳에, 신뢰하는 사람들과 교류를 한다는 점, 불안을 일으키는 요소는 없었다. 여기서 좀 더 사람들에게 안정된 상태에서 조금 더 유흥과 즐거움이 필요하다. 아이들의 놀이터는 줄어들지만, 어른들의 놀이터는 없다. 시간이 흐를수록 좀 더 신뢰가 있는 관계가 줄어 들고(같이 놀 사람들이 줄어 들고) 정말 신나게 논다는 의미가 달라지고 논다는건 돈을 쓴다는 의미가 같이 따라간다. 또한 우리가 속히 논다는 것을 많이 정리하는데, 정말 잘 논다는 게 무엇일까?

 아이도 어른도 같이 놀 수 있는 놀이터는 무엇이 필요할까? 시소와 같이 좀 더 무거운 사람은 두 다리에 무게를 실어주어 좀 더 가벼운 무게의 사람(혹은 아이)가 박차고 시소를 높이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무게를 맞춰 주어야 한다. 놀이공원은 비용을 내고 소비를 하지, 놀이를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물론 놀이기구를 타면서 입을 벌리고 타는 둥, 셀카를 찍는 여러가지 미니 게임정도는 만들어서 할 수 있겠지만, 아무 것도 없는 공터에서 현재를 사는 아이와 어른은 던져놓고, 스마트 폰도 없다면 그들은 심심해 죽음에 이르지는 (경우에 따라)않겠지만, 서먹할 것이다. 

Posted by TableLa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