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 사전'에 해당되는 글 5건

  1. 2020.06.30 Intermission ; 중간 휴식, 공연 중 휴식 시간
  2. 2020.06.22
  3. 2020.06.12 길 도道
  4. 2020.06.10 갈피
  5. 2020.05.30 아물다

'Intermission'은 중간 휴시간을 의미하는 영단어이다. 그런데 말을 형태소별로 끊을 때 흥미로움 점이 있다. 'Inter'과 'Mission'은 각각 의미를 풀이할 때 'Inter'은 안으로, 내부로 들어간다면, 'Mission' 임무라는 단어상의 의미도 있지만 더 잘게 쪼개볼 때, '보내다'라는 의미를 가진 'Mis'어두의 명사형이다. 즉 'Inter Mission'은 '안으로 보낸다'라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어디 안으로 보내는 걸까? 공연에 임하거나, 공연장에 들어가는게 아니라 어디로 다시 임하는 걸까? 이 질문에 역으로 반문하자면 공연을 보고 있을 때우리는 어디에 있는것일까? 감성(감정)을 가지고 관람하는 주체는 연극속에서 무엇일까? 말의 맥락을 자의적으로 해석해 보면, 우리는 공연으로 구성된 세계에 임했다가, 다시 우리가 사는 세계 '현실'로 회귀한다. 그런 맥락으로 우리는 현실로 보내지는 의미일까. 매우 흥미로운 단어다.

Posted by TableLand :

2020. 6. 22. 10:54 from 어원 사전/한국어

벽의 어원 작성중

'어원 사전 >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 도道  (0) 2020.06.12
갈피  (0) 2020.06.10
아물다  (0) 2020.05.30
Posted by TableLand :

길 도道

2020. 6. 12. 12:00 from 어원 사전/한국어

회의문자

途자는 ‘길’이나 ‘도로’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途자는 辶(쉬엄쉬엄 갈 착)자와 余(나 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余자는 나무 위에 지은 집을 그린 것으로 ‘나’나 ‘자신’이라는 뜻이 있다. 그런데 途자의 갑골문을 보면 余자와 止(발 지)자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내(余)가 다니는 길(止)’이라는 의미로 ‘보행길’을 뜻한다. 고대에는 마차나 수레, 사람이 다니는 길이 각각 구분되어 있었다. 途자는 그중에서도 사람이 다니는 길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다. 금문에서는 여기에 彳(조금 걸을 척)자가 더해지면서 지금의 途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어원 사전 >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20.06.22
갈피  (0) 2020.06.10
아물다  (0) 2020.05.30
Posted by TableLand :

갈피

2020. 6. 10. 16:36 from 어원 사전/한국어

사물의 갈래가 구별되는 어름. 겹쳐졌거나 포개어진 물건의 한 겹(장) 한겹의 사이. 

'갈피'의 어원적 의미는 '갈라져 겹친 것'이다.

 

백문식 『우리말 어원사전』 도서출판 박이정. 2015. pp.27

'어원 사전 >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20.06.22
길 도道  (0) 2020.06.12
아물다  (0) 2020.05.30
Posted by TableLand :

아물다

2020. 5. 30. 19:11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